서울에서 부안으로 향하는 버스에 몸을 싣는다. 창밖으로 겨울의 스산한 겨울 풍경이 스친다. 서울을 벗어나자 눈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세 시간 남짓 달렸을까. 어느덧 차는 부안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줄포를 경유해 내소사 방면으로 가는 군내버스를 탈 수 있다. 내소사까지는 약 50분 정도가 걸린다. 내소사 가는 길에 내리던 싸락눈은 어느새 함박눈으로 바뀌었다. 차창으로 스치는 눈송이가 탐스러워 솜뭉치 같기도, 솜사탕 같기도 하다. 내소사는 633년(백제 무왕 34년) ‘혜구 두타’라는 여승이 창건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중건·중수를 거듭하다 임진왜란 때 대부분 소실되기도 했다. 이후로 조선 인조 때 청민선사가 중창했고, 인조 11년(1633년)에 웅장하고 아름다운 대웅보전을 중건했다. 내소사는 관음봉(433m) 아래에 위치해 있다. 관음봉을 일명 ‘능가산’이라고 부르는 까닭에 능가산 내소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래 이름은 소래사(蘇來寺)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찾아오는 곳’이라는 뜻이다.
눈이 내리면 내소사 가는 길 앞 전나무 숲길 바닥은 온통 하얗게 물든다. 내소사에 가려면 전나무 숲길을 꼭 거쳐야 한다. 임진왜란 때 전소된 내소사를 복구하면서 절에 이르는 길이 너무 휑해 전나무를 심으면서 울창해졌는데, 지금은 사찰보다 더 유명해졌다. 눈 내린 내소사는 절경 그 자체다.
내소사 전나무 숲은 월정사, 광릉 수목원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으로 꼽힌다. 월정사 숲길이 가지런히 정리된 모습이라면, 내소사 앞 숲길은 나무들이 자연스레 심겨 있어 더욱 푸근한 느낌을 자아낸다. 하늘을 찌를 듯 솟은 30~40m 높이의 아름드리 전나무들은 사찰 앞까지 600여 m로 이어진다. 숨을 크게 들이쉬니 전나무 특유의 맑은 향 내음이 몸 깊숙한 곳까지 스민다.전나무 숲을 나와 사천왕문을 지나면 사찰 경내에 든다. 경내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느티나무는 천 년을 살았다고 전해진다. 내소사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고졸한 멋을 풍긴다. 대웅보전은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끼워 맞춰 지었다. 특히 정면에 여덟 짝의 꽃무늬 문살은 꽃잎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담은 정교한 조각으로 유명하다. 오랜 세월 비바람에 씻겨 색은 모두 지워져 채색 없이 말간 나뭇결을 그대로 내보이고 있지만 오히려 그 소박함이 보는 이로 하여금 경건함을 자아내게 한다.
시간이 여유롭다면 템플스테이를 경험해 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내소사는 트레킹 템플스테이로 유명하다. 사찰에 머물면서 산과 계곡을 걸으며 사색에 잠기는 프로그램이다. 내소사를 출발해 직소폭포, 제백이 고개, 관음봉 삼거리, 전나무 숲을 거쳐 다시 사찰로 돌아오는 코스다. 트레킹 템플스테이가 부담스럽다면 휴식형 템플스테이에 참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새벽 예불과 공양만 참여하고 자유롭게 템플스테이를 경험할 수 있다. 바람 지나가는 소리, 나뭇잎이 구르는 소리, 물 흐르는 소리까지 또렷이 들리는 경험이 펼쳐진다.
중국 송나라 때의 시인 소동파는 중국 황주의 아름다운 적벽강 풍경에 반해 이 같은 시를 남겼다.
‘임술 초가을 열엿샛날에 나는 손님과 배를 띄우고 적벽의 아래에서 노닐었다.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오고, 물결도 일지 않는데 술잔을 들어서 손님에게 권하며 명월의 시를 읊조리며 요조의 장을 노래했다.’
당나라의 시인 이태백은 채석강에서 뱃놀이를 하던 중 강물에 비친 달을 잡으러 물에 뛰어들었다가 삶을 마감했다. 적벽강과 채석강, 두 곳 모두 당대 최고의 시인의 마음을 홀딱 빼앗을 만큼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곳이다. 부안의 적벽강과 채석강은 중국의 적벽강과 채석강의 아름다운 경치를 쏙 빼닮았다고 해서 똑같은 이름이 붙었다.
적벽강은 각양각색의 바위들이 해안가에 서 있는 해안절벽 지대다. 주황빛 노을을 받아 물들기 시작하면 암석들은 낮과는 다른 신비로운 모습을 자아낸다. 이러한 이유로 해 질 녘의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꼽히며 부안에서 해넘이 명소로 불린다. 적벽강에서 약간 떨어진 채석강은 변산반도 서쪽 끝에 1.5km가량 이어진 또 다른 해안 절벽으로, 변산반도 서쪽 끝 격포항과 그 오른쪽 닭이봉 일대의 층암절벽을 총칭하는 이름이다. 기저층은 화강암과 편마암이고, 약 7천만 년 전이었던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한 절벽이 마치 수만 권의 책을 쌓아 놓은 듯 와층을 이루고 있다. 기기묘묘한 모습은 자연의 신비한 섭리를 한껏 일깨워 준다.
채석강 앞에는 격포항이 있다. 격포항에 간다면 백합탕을 내놓는 식당을 많이 볼 수 있다. 백합은 발이 빠지지 않는 단단한 펄에서 자라는데, 향긋하고 단내가 깊다. 부안 백합은 조선시대 궁궐에까지 진상해 오래전부터 유명했다. 백합 하나를 건져 초고추장에 살짝 찍으면 향긋한 냄새가 입 안 가득 퍼진다. 보글보글 말갛게 끓어오르는 백합탕에 겨울 추위가 오히려 고마워진다.
변산반도를 여행하는 방법 중 하나는 30번 국도를 따라가는 것이다. 외변산을 아우르는 이 길은 부안에서 새만금, 대항리를 거쳐 채석강, 격포, 모항, 곰소로 이어진다. 저녁노을에 붉게 물든 어촌과 해변, 갯바위와 포구, 바다 물결에 맞춰 출렁이는 어선들… 쉼 없이 펼쳐지는 풍광이 가슴을 찡하게 만든다. 길을 따라 채석강과 내소사를 지나면 길은 모항에 닿는다. 30번 해안도로는 변산반도를 일주하는데, 서해안에서도 아름답기가 으뜸이다. 오른쪽으로 해변을 끼고 굽이치는 이 길은 눈길 주는 곳마다 고즈넉한 포구와 기암절벽, 아늑한 해변이 마술을 부리듯 나타났다 사라진다. 모항을 빠져나와 계속 30번 국도를 따르면 진서면에 자리한 곰소항에 닿는다. 변산반도와 선운산 사이로 깊숙이 파고든 곰소만(줄포만)을 끼고 있는 곳이다.
사람들은 곰소하면 젓갈을 떠올린다. 변산반도 근해에서 어획되는 어류에 곰소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뿌려 만든다. 이곳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짠맛보다 단맛이 강해 고급으로 대접받고 있다. 곰소항 제방을 따라 젓갈 가게가 늘어선다. 가게마다 시식대를 마련해 맛을 볼 수도 있다. 다른 재료를 섞지 않고 자연 발효와 오랜 숙성을 거쳐 탄생하는 젓갈은 다른 지역의 젓갈에 비해 감칠맛이 빼어나다. 젓갈 정식을 내는 식당들도 몰려 있는데, 1만 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푸짐한 상을 받을 수 있다. 곰소항 옆이 바로 곰소염전이다. 겨울철에는 영롱한 소금 결정체 대신 새하얀 눈이 쌓여 있다.
곰소항 어느 허름한 백반집에 앉아 젓갈 정식을 한 상 받았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쌀밥과 김치 그리고 이름을 알 수 없는 수많은 젓갈이 앞에 가득 놓여있다. 수북한 밥 위에 새빨간 젓갈을 한 젓가락 올렸다. 창밖에는 눈이 펑펑 내린다. 두 가지 색의 대비가 어찌나 낭만적인지. 눈이 수북이 쌓이면 돌아가는 길이야 좀 험난하겠지만, 어쨌든 지금 펼쳐진 이 고요한 겨울의 낭만을 즐겨본다.
모항 마을은 100여 명이 살아가는 작은 마을이다. 차 한 대가 겨우 지날 정도의 길을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낮은 집들이 정담을 나누듯 마주하고 있다. 낙조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바다 위로 눈이 내리는 모항 풍경도 더할 나위 없이 근사하다.
주소 전북 부안군 변산면 모항길 107
2009년 10월, 변산반도를 따라 걷는 17.5km의 길이 처음 열리면서 만들어졌다. 시작점은 새만금전시관이다. 시작점에서 해안도로를 따라가면 이내 고사포 해변이 나온다. 백사장의 길이가 2km에 달하는 커다란 해수욕장이다. 고사포 해변을 빠져나오면 해안초소길을 따라 이어지고 이내 적벽강에 도착한다.
주소 전북 부안군 변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