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라는 단어를 보고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 40.9%

    회화, 건축, 디자인 등

    예술작품
  • 39.6%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생활공간
  • 16.9%

    감동, 경이로움, 몰입 등

    정서적 인상
  • 2.6%

    화가, 연주자, 장인 등

    숙련된 기술

내가 생각하는 ‘예술’의 역할

  • 33.8% 감동과 위로의 전달
  • 33.1% 새로운 관점의 제시
  • 31.2% 일상에 아름다움 더하기
  • 1.9% 기타

    (사회에 질문 던지기, 일상에서 멀어지기, 내가 인간이라는 자각 등)

‘예술 작품’을 접할 때 주로 느끼게 되는 감정은?

  • 43.5%

    창의성, 자유로움

  • 35.1%

    경이로움, 감탄, 감동

  • 12.3%

    위로, 치유

  • 7.1%

    낯섦, 거리감, 난해함

  • 2%

    기타(호기심, 깨달음, 부러움 등)

미술, 음악, 영상 등 장르를 불문한 나의 최애 예술가

  • 아름다운 목소리와 열정적인 연기로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선보이는

    뮤지컬 배우 박광현
    K-water연구원
    김효원
  • 전 세계의 어린이와 어른이들이 모두 함께 나눌 수 있는 꿈과 이야기를 만들어낸

    월트 디즈니
    금강권수도사업단
    박나은
  • 시원시원한 음악이 마음을 뚫고, 칼군무로 눈을 즐겁게 하는 이 시대의 아이돌!

    헌트릭스
    운문권지사
    강병희
  • 입을 다물 수 없던 영상미와 스케일에 반해 우주비행사를 꿈꾸게 했던 SF 거장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한강유역수도지원센터(처)
    이민수
  • 한 작품을 통해 전 세계의 공감을 이끌어낸

    한강 작가
    금강유역협력단
    서석호
  • 말 한마디 없이 그저 선율로만 감정을 전달하는 힘이 대단한

    피아니스트 조성진
    창원권지사
    유한성

새로운 ‘기술’이 나타났을 때 나의 반응은?

  • 60.4%

    일단 지켜보다 괜찮다고 생각되면 사용하기

  • 35.1%

    직접 써보며 평가하거나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하기

  • 3.9%

    웬만하면 기존의 방식을고수하기

  • 0.6%

    기타(주변인이 알려줄 때까지 기다리기)

나에게 ‘기술’이란?

  • 55.8%

    삶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

  • 36.4%

    미래를 열어주는 촉매제

  • 6.5%

    인간의 능력을 높여주는 도구

  • 1.3%

    나와는 거리가 있는 분야

잊지 못할 만큼 충격적이었던(Positive) 예술작품

  • 스페인의 사그리다 파밀리아 대성당을 보았을 때 마치 외계인이 건축한 듯,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특이함이 느껴졌어요.

    경영혁신실
    김태연
  • 구병모 작가의 『파과』를 읽는 동안 남다른 어휘력과 문장력에 좌절과 감탄을 했고 동시에 재미도 느꼈어요

    인재경영실
    곽새힘
  •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서 한국 팀이었던 ‘범접’의 메가크루 영상을 보았을 때의 충격. 정말 소름 그 자체!

    안동권지사
    김경민
  • 종교적 미장센과 자연이 주는 ‘빛’이 완벽하게 어우러진 승효상 건축가의 하양 무학로 교회. 그곳에서 치밀하게 설계된 따스함에 경외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예천수도지사
    서진수
  • 제주도에서 본 바다 위의 아름다운 노을. 차마 인간이 만들어내지 못하고, 한 폭에 담아낼 수도 없는 최고의 예술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섬유역협력단
    전경환
  • 클로드 모네의 <수련>을 보고 우리의 삶도 당장 코앞은 힘들지만, 멀리서 보면 멋진 그림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산권지사
    양수빈
  • 애플의 첫 ‘S 시리즈’인 ‘아이폰 3GS’는 혁명이었습니다. 심플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스마트폰도 예술이 될 수 있다’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수자원사업처
    최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