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 올여름에도 어김없이 전국 곳곳에 소나기와 함께 찾아온 불청객이 존재했죠. 바로 천둥과 번개입니다. 단순히 하늘에서만 ‘번쩍’하는 거라면 모르겠지만, 그 불빛이 땅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를 낙뢰(Lightning Stroke)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유독, 올해에는 낙뢰가 빈번한 느낌인데요. 그저 ‘느낌적인 느낌’일까요, 아니면 실제로 그런 걸까요?

    소나기구름은 불안정함 속에 만들어집니다. 불안정함을 키우는 주요 요인은 바로 대기 상하층 간의 움직임이고요. 통상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위로, 차고 건조한 공기는 아래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요즘 같은 무더운 여름날, 집에서 에어컨을 켜면 위와 아래의 온도가 다른 것을 체감한 경험, 다들 있으실 겁니다. 혹시라도 온 가족 보양을 위해 집에서 곰탕이라도 끓일 땐 집안의 ‘윗 공기’가 더 후끈후끈해지곤 하죠. 우리처럼 온돌 문화가 아닌 서양에서 사시사철 천장의 팬을 가동하는 이유 역시 이 때문입니다. 이 팬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여름엔 고루 시원하게, 겨울엔 고루 따뜻하게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이러한 상태가 반대되면 어떻게 될까요? 하층에 더운 공기가 있고, 상층에 차가운 공기가 있는 상태 말입니다. 하층의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려 할 겁니다. 그런데 상층에 찬 공기가 있으니 제아무리 올라가도 이 더운 공기의 입장에선 “왜 계속 내 주변에 더 차가운 공기가 있지?” 계속해서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대기가 좀처럼 가만히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승기류가 지속, 강화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겁니다. 이러한 대기 불안정으로 빚어지는 일들로는 소나기와 우박, 그리고 천둥·번개가 있습니다. 천둥과 번개는 구름과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며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구름 속 작은 물방울과 공기가 서로 전자를 주고받게 되는데, 순간적으로 그 양이 엄청나게 많아지면서 불빛을 내며 폭발하는 것이죠.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0년(2013~2022년)간 6월의 평균 낙뢰 횟수는 1만 997회가량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많은 숫자죠. 그런데 올해 6월에는 낙뢰 횟수가 총 2만 1,596회로 집계되어, 지난 10년간의 6월 평균 낙뢰 횟수보다 배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심지어 올 6월 중 낙뢰가 발생한 날을 기준으로 일평균 낙뢰 횟수가 1,080회를 기록하며, 10년간의 일평균 낙뢰 횟수를 통틀어 가장 많았습니다.지난 2014년, 6월에 발생한 낙뢰의 수는 2만 2,241회로 올해보다 많았지만 일평균 횟수는 741회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한 번 천둥·번개가 쳤다 하면’ 엄청나게 많은 낙뢰가 발생한 셈입니다.

    그렇다면 지난 6월의 ‘역대급 낙뢰’는 어디서 주로 발생했을까요. 광역시도별로 보면 강원(4,404회), 광주·전남(3,970회), 수도권(3,866회), 대구·경북(3,661회) 등 얼핏 8도에 고르게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보다 세밀한 잣대로 단위 면적당 발생 횟수를 따져보니 두 곳이 두드러졌습니다. 바로 경기 북부와 광주·전남입니다. 6월에 많은 소나기가 집중됐던 곳들입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낙뢰 사고로 7명이 숨지고 19명이 다쳤습니다. 그런데 지난 6월 10일, 강원도 양양군의 설악해변에서 발생한 1건의 낙뢰 사고로 안타깝게도 1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습니다. 역대급 일평균 낙뢰 횟수가 기록됐던 만큼, 큰 피해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대기가 불안정하고, 갑작스러운 소나기와 강한 강수가 예상될 때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예상된다”는 예보 통보문이 나오곤 합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디에, 언제 낙뢰가 발생할지는 미리 내다보기는 어렵습니다.

    레이더에 관측된 비구름대의 위치와 두께 등에 기반해 낙뢰가 우려되는 지점에 대한 초단기 예측은 가능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모델링에 기반한 ‘예측’일 뿐입니다. 당장 비구름대의 양상이 달라질 수도, 해당 지역의 대기 흐름이 달라질 수도 있다 보니 그저 “○○ 지역에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예상된다”는 예보를 보면, 해당 지역의 모두가 함께 조심하고 특히나 갑작스레 비가 퍼부으려 할 땐 더더욱 조심하는 수밖에 없죠.

    문제는 앞으로도 이러한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앞서 천둥·번개의 원리에 대해 말씀드린 것처럼, 대기 중 수증기가 많아질수록, 구름이 많아질수록, 특히 갑작스러운 강한 소나기가 잦아질수록 낙뢰가 발생할 가능성은 커집니다. 그런데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이러한 낙뢰가 생기기 좋은 조건을 만듭니다. 기온은 오르고, 수증기의 발생량은 많아집니다. 강수일수는 줄어드는데 호우일수는 늘어납니다. 이미 집중호우 일수는 1981~1990년 평균 26일에서 2011~2020년 평균 30.6일로 크게 늘었습니다. 앞으로 이런 양상은 더욱 심각해질 걸로 예상됩니다. 대기 불안정이 잦아지고, 그로 인한 집중호우가 늘고, 결국 그 과정에서 물방울과 공기는 더욱 자주 부딪히며 강한 전기, 뇌전과 낙뢰를 만들어 내게 되고요.

    이처럼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영향, 그중에서도 기상 현상만으로도 우린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단순히 ‘경제적 손실’을 넘어 우리의 귀한 생명을 앗아가는 참사로 이어지곤 합니다. 어쩌다 한 번, 어느 특정 지역에서만 벌어지는 일이라고 치부하기엔 그 리스크는 너무도 크고요. 언제나처럼 오늘보다 덜 뜨거운 내일을, 오늘보다 온실가스 농도가 좀 더 낮은 내일을 바라며 이번 달 지구보고서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