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on 1

한 걸음 앞으로 다가온 국내 물산업 유럽 진출

주한 유럽연합(EU) 및 4개 회원국 대사 대표단 방문

유럽 주요국 대사들이 한국수자원공사의 초격차 물관리 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국내 물산업의 유럽 진출이 더욱 가까워졌다는 청신호다.

📝글. 편집실  /  💾자료. 한국수자원공사

유럽을 놀라게 한 한국수자원공사의 물 기술

지난 5월 13일 한국수자원공사에 주한 유럽연합(EU) 및 4개 회원국 대사 대표단이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3월 서울에서 열린 ‘2025 한-유럽연합 연구혁신의 날’ 당시 한국수자원공사와 주한 유럽연합 대사, 유럽연합 연구혁신총국 부총국장 면담에 이은 후속 교류의 일환이다. 면담에서 실질적인 국제협력 확대 방안이 논의됨에 따라 국내 물산업의 유럽 진출에 대한 기대감이 더 높아졌다.
2022년 유럽 중남부 지역은 50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었으며, 2024년에는 중동부 지역에 6개월 치 강수량이 하루 만에 쏟아지는 등 복합적인 물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물 관련 기상 현상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탓에, 유럽 내 물관리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은 물 분야를 포함한 기후·환경 전반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과학기술 강국 회복을 위한 정책 연구프로젝트인 ‘호라이즌유럽(Horizon Europe)’과 연계해 국제 공동 연구도 확대 중이다. 한국수자원공사도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물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국제 연구 협력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표단은 디지털트윈 기반 물재해 예측·대응 시스템,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홍수·가뭄 분석 기술, 위성 직수신 기반 레이더 시스템 등 첨단 기술 시연을 참관하고, 기후위기 시대 물안보 확보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주목했다. 더불어 글로벌 물문제 해결을 위해 성심껏 돕겠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대표단 방문을 통해 단순히 연구 교류 차원을 넘어, 기술의 현지 실증과 사업화로 이어지는 수출 기반 마련과 연계할 계획이다. 유럽 진출까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다. 이제 세계 어느 곳에서든 한국수자원공사의 물관리 기술을 만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다.